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내용을 저소득층 및 청년 지원 중심으로 알아 보자!!

by infobox9633 2025. 4. 4.

건물 들 - 내가 살 집은 어디에 있을까?

1. 공공임대주택 확대 정책의 배경 및 목적

정부는 2025년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대폭 확대하여 저소득층, 청년, 신혼부부, 고령층의 주거 안정을 지원한다.

주택 가격 상승과 전세난으로 인해 서민들의 주거 부담이 증가하면서, 보다 많은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지원 조건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이번 정책에서는 임대료 인하, 보증금 지원, 공급 지역 확대 등을 통해 더 많은 국민이 공공임대주택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

2. 2025년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지역 및 세대수

2025년 공공임대주택 공급량은 전국 총 15만 세대로 확대되었다.

수도권뿐만 아니라 광역시 및 중소도시까지 공급 지역을 세부적으로 조정하여 균형 있는 분배를 추진하고 있다.

📌 수도권 (서울, 경기, 인천) 주요 지역 공사 현황

서울 강동구 고덕동 152번지 1,200세대 70% 진행 (2025년 9월 입주 예정)
서울 강서구 화곡동 98-5번지 1,100세대 60% 진행 (2025년 12월 완공 목표)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105번지 1,500세대 80% 진행 (2025년 6월 입주 예정)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203번지 2,000세대 50% 진행 (2026년 3월 완공 예정)
  • 서울 (총 1만 2천 세대)
    • 강동구: 고덕동(1,200세대), 암사동(1,000세대)
    • 강서구: 화곡동(1,100세대), 방화동(900세대), 등촌동(500세대)
    • 금천구: 독산동(800세대), 시흥동(1,000세대)
    • 송파구: 가락동(1,300세대), 장지동(1,400세대)
  • 경기도 (총 4만 세대)
    •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1,500세대), 수정구 태평동(1,200세대)
    • 수원시: 권선구 호매실동(1,800세대), 영통구 망포동(1,500세대)
    •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2,000세대), 처인구 남사읍(1,600세대)
    • 남양주시: 다산동(1,700세대), 별내동(1,500세대)

📌 지방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주요  공사 현황

부산 해운대구 우동 300-12번지 1,500세대 75% 진행 (2025년 8월 입주 예정)
대구 수성구 범어동 45-3번지 1,400세대 65% 진행 (2025년 11월 입주 예정)
광주 서구 화정동 99번지 1,200세대 55% 진행 (2026년 2월 완공 목표)
대전 유성구 도룡동 112-5번지 1,600세대 50% 진행 (2026년 4월 완공 목표)
  • 부산 (총 2만 5천 세대)
    • 해운대구: 우동(1,500세대), 재송동(1,300세대)
    • 사하구: 하단동(1,200세대), 신평동(900세대)
    • 금정구: 부곡동(1,100세대), 서동(1,000세대)
  • 대구 (총 1만 8천 세대)
    • 수성구: 범어동(1,400세대), 황금동(1,200세대)
    • 달서구: 감삼동(1,300세대), 월성동(1,100세대)

3. 공공임대주택 신청 방법

① 신청 대상

  • 무주택자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고령층 포함)
  •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가구
  • 주택 보유 여부, 가구원 수, 자산 기준 등을 충족하는 경우

② 소득 기준

소득 기준은 신청자의 가구 구성에 따라 다르며, 2025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 1인 가구: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 (약 300만원 이하)
  • 2인 가구: 월평균 소득의 120% 이하 (약 450만원 이하)
  • 3~4인 가구: 월평균 소득의 150% 이하 (약 550만원 이하)
  •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포함): 추가 지원 가능

③ 신청 절차

  1. LH 청약센터 접속
  2. 모집 공고 확인 후 본인 조건에 맞는 유형 선택
  3. 온라인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
  4. 자격 심사 후 선정되면 개별 통보
  5. 계약 체결 및 입주

4. 관련 사이트 및 상담 전화

  • LH 청약센터: https://apply.lh.or.kr
  • 국토교통부 콜센터 ☎1599-0001
  • LH 고객센터 ☎1600-1004
  • 각 지방자치단체 주택과 상담 가능

5. 결론

2025년 공공임대주택 공급은 전국적으로 확대되었으며, 특히 저소득층과 청년층을 대상으로 보다 완화된 소득 기준이 적용되었다. 공공임대주택을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소득과 자산 조건을 확인하고, LH 청약센터에서 상세 정보를 확인한 후 신청하는 것이 중요하다.